광명시는 뉴타운 재개발과 함께 대규모 인구 유입이 예정되어 있어, 교통 인프라 확충이 절실한 지역입니다. 시는 이에 대응하기 위해 철도, 도로, 광역 교통망 등 전방위적인 교통개선 계획을 추진 중입니다. 이 글에서는 광명시 뉴타운 관련 교통 정책과 주요 사업들을 정리해 소개합니다.
철도 교통 개선: GTX와 신안산선이 핵심
광명시 교통개선의 중심에는 GTX(수도권광역급행철도)와 신안산선이 있습니다. 특히 광명 뉴타운과 직접 연결되는 철도 인프라는 향후 입지 가치를 결정짓는 핵심 요소입니다.
GTX-B 노선은 송도에서 시작해 여의도, 용산을 거쳐 광명역까지 연결되는 노선으로, 서울 도심 접근성을 획기적으로 개선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특히 광명역이 B노선의 정차역으로 확정되면, 기존 KTX 및 일반철도 외에도 급행 광역철도까지 중첩 정차하는 전국 유일의 교통 허브가 될 전망입니다.
또한 신안산선은 안산·시흥에서 출발해 광명시를 지나 여의도까지 연결되며, 광명사거리역에 복합환승센터가 신설됩니다. 신안산선은 2026년 개통 예정으로, 기존 지하철 7호선과의 연결을 통해 철산동, 하안동, 광명동 등 광명시 전역의 철도 접근성이 대폭 향상될 예정입니다.
이외에도 KTX광명역에서 인천국제공항으로 연결되는 공항버스 환승 터미널 개선, 수도권 서부선(예정) 등도 논의 중이며, 철도망이 다각도로 확장되는 추세입니다.
현재까지는 일부 구간에 국비 지원 및 민간 투자 유치가 지연되고 있어 시점이 유동적이지만, 정부 5대 광역권 교통 대책에 광명 교통망이 포함되어 있어 정책적 우선순위가 높은 지역입니다.
도로망 확충: 내부순환도로 및 간선도로 개선
광명시는 철도뿐 아니라 도로 교통망 확장에도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 특히 뉴타운 재개발 구역을 중심으로 혼잡한 골목 도로를 정비하고, 간선도로망을 확장하는 작업이 병행되고 있습니다.
먼저, 광명동 및 철산동 지역을 중심으로 내부순환도로 구축 계획이 가시화되고 있습니다. 광명뉴타운 1~6구역 주변으로 기존 좁은 왕복 2차선 도로를 4~6차선 규모로 확장하는 사업이 추진 중이며, 광명사거리역~광덕초~광명고 일대 주요 구간은 보도와 차도 분리형 설계가 적용됩니다.
또한 하안뉴타운 및 광명소하 신도시와 연결되는 주요 간선도로, 예를 들어 덕안로, 하안로, 소하로 등은 왕복차선 확장, 스마트 교차로 설치, 버스중앙차로 신설 등을 통해 혼잡도를 줄이는 방향으로 정비됩니다. 특히 출퇴근 시간대 극심한 정체가 발생하는 철산역 주변과 광명사거리~소하동 구간은 신호체계 스마트화 시스템도 도입됩니다.
광명시는 시내버스 노선 재편도 계획 중이며, 뉴타운 입주 시점에 맞춰 시내·마을버스 노선 다변화와 배차 간격 단축이 적용될 예정입니다. 이를 위해 대중교통 운영 시뮬레이션 시스템을 개발해 입주 후 통행량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하겠다는 방침입니다.
또한 최근에는 광명시~안양시 간 도로 확장 협의도 이루어지고 있어, 광명시 전역의 교통 흐름이 입체적으로 개선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광역 교통망 계획: 서울, 경기권 연결력 확대
광명시는 서울 서남권과 경기 서부권 사이에 위치해 있어 광역 교통 연결성 개선이 도시 경쟁력의 핵심 요소입니다. 이에 따라 경기도 및 국토교통부는 제4차 국가철도망계획과 제2차 수도권광역교통 시행계획에 광명시 관련 사업을 대거 포함시켰습니다.
대표적인 사업이 서부간선도로 지하화 연장입니다. 현재 서울 구로구에서 진행 중인 서부간선도로 지하화 사업이 광명IC를 거쳐 광명사거리까지 연장될 계획이며, 이로 인해 서울 진입 차량의 병목 현상을 줄이고 광명~서울 간 이동 시간을 20~30% 단축하는 효과가 기대됩니다.
또한 광명~시흥 테크노밸리와 광명역세권~서울디지털단지를 연결하는 BRT(간선급행버스) 노선 신설이 예정되어 있으며, 철산역·광명사거리역을 거점으로 하는 환승거점 복합개발 사업도 본격화되고 있습니다. 이는 기존 교통망에 더해 입체적 환승이 가능한 복합노선 체계로의 전환을 의미합니다.
광명시와 인접한 시흥시, 구로구, 금천구와의 연계 도로 및 대중교통 노선 정비도 진행 중이며, 특히 KTX광명역~서울디지털국가산단~여의도 구간 직행버스도 정책 검토 대상에 포함되어 있어 광역출퇴근 수요 해결에 효과적일 것으로 전망됩니다.
이러한 광역 교통계획은 단순히 편리함을 넘어 광명 뉴타운의 부동산 가치 상승, 기업 유치, 생활 인프라 확대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광명뉴타운의 가치는 교통계획과 함께 성장 중
광명뉴타운은 단순한 주거단지 재개발을 넘어서, 전국 광역 교통의 핵심 거점도시로 성장하고 있습니다. GTX, 신안산선, 내부순환도로, 광역BRT까지 다양한 교통 인프라가 동시에 구축되며, 이는 실거주자 만족도는 물론 투자 매력까지 높이는 요인이 됩니다.
입주를 앞둔 1~6구역, 분양을 기다리는 7~11구역, 장기 투자를 고려 중인 12~16구역 모두 교통계획의 수혜 범위 안에 포함되어 있으므로, 광명시의 교통 변화는 장기적으로 지역 가치를 크게 끌어올리는 핵심 요인이 될 것입니다.